아.. 기억력이 거의 붕어급이라.. 했던거 까먹고 했던거 까먹고..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
예전에 썻던 NCBI의 eutil, 역시 기억이 안난다. 해서 정리한다.
eutil을 통해 ncbi의 nucleotide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서 ncbi id 에 해당하는 시퀀스와 정보를 가져온 뒤 파싱하는 프로그램을 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이거 만들면서 해당 자료를 죄다 모아보자.
-genbank file format :
http://www.ncbi.nlm.nih.gov/Sitemap/samplerecord.html#Top
-ncbi의 데이터 모델 : 사실 이걸 찾은 이유는 검색하고자 하는 쿼리(ncbi id)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할거 같아서
http://mail.ypu.edu.tw/~wnhuang/Bioinformatics/2.pdf
-eutil 에 대한 manual :
http://www.ncbi.nlm.nih.gov/bookshelf/picrender.fcgi?book=coursework&part=eutils&blobtype=pdf
<위 manual 설명>
eutil 자체는 entrez system을 이용하기때문에 entrez 에 속해있는 database의 search만이 가능하다(근데 대부분 다 들어 있다). 각 DB에 맞는 UID (integer id)를 이용해야 한다(예: PMID for pubmed, GI number for nucleotide & protein DB).
-the Common Entrez engine :
Esearch : 정해진 database에서 text query 매치되는 uid들을 return
ESummary : query 로 uid를 받고 이와 매치되는 DocSum(Document symmary) return
EGQuery : Esearch의 global 버젼으로 모든 entrez database를 뒤진다.
-Entrez Databases:
EInfo : 정해진 database의 자세한 정보제공(indexing field와 어느 DB로 연결가능한 uid return)
EFetch : 정해진 format으로 query uid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ELink : input uid와 관련된 특정 DB에서의 uid를 return 한다 (Nucleotide에 GI number를 넣어주면 관련 SNP DB의 uid를 return)
-Using the Entrez history server :
entrez search의 장점중에 하나가 (ncbi의 pubmed 사용시 느낄수 있는것인데) 한번 검색했던 결과 (uid list)에 대해서 임시적으로 저장을 한다. 그래서 그것들의 조합을 이용할수도 있다(그러니까 첨에 pubmed에서 "cancer"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하고 두번째로 "gene"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한담에 이 두결과에 대한 or 내지는 and 가 가능). 이렇듯 검색 결과 나온 uid를 history server에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나서 "query_key"(integer label) 와 "webEnv"(endoded server address)를 제공한다.
EPost : uid 리스트가 history server에 임시 저장시키고 query_key와 webEnv를 제공한다.
위의 ESearch 역시 history sever에 결과를 임시 저장한다.
-query가 url을 만들시 대문자는 쓰이지 않으며(WebEnv 파라미터명과 boolean 제외) space는 +로 대신하고 query key를 나타내는 #문자는 url encoding 인 %23 을 대신한다.
-biopython install : 이전에는 genbank parsing 하는 스크립트를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biopython을 이용해 보려 한다. 아무래도 내가 짠거보다는 완성도가 높을거 같아서.
http://www.biopython.org/DIST/docs/install/Installation.html
솔직히 이번에 biopython을 처음 써봤는데.. 강추다. 특히 DNA sequence를 다루는 사람들에게 꼭 메뉴얼을 훓어보길 권장한다. 위의 eutil 역시 biopython에 모듈로 들어가 있다. 이것 때문에 기존에 내가 만들어 놨던 module을 싹 버리고 biopython 모듈을 쓰기로 마음 먹었다. 내껀.. 허접하므로..
Friday, November 5, 2010
Thursday, November 4, 2010
클러스터 관련...
요즘 회사에서 서버구축에 신경을 많이쓴다. human genome같은 경우에 assemble할려면 200기가 이상의 램이 필요하고... 뭐시기 뭐시기.. 하드웨어적인 감이 전혀 없는 별나라 이야기 같아서.. 이래선 안된다란 생각에 조금씩이라도 읽고 긁어보아보자라는 생각에 관련 링크 및 정보 정리를 한다.
우선은 클러스터 제작과정의 블로그 :
http://blog.neosgen.net/84
위 사이트에서 나오는 노드 컴퓨터에 하드 디스크 없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방법 NFS :
http://hanyjuny.blog.me/40106543467
NFS이 간략한 정의 :
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운영체제 등 동일한 운영체제 상호 간에 파일을 공유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서비스이다. NFS는 서버에 의해서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에 의해서 서버의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되어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파일 시스템을 자신의 파일 시스템처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쉽게 말하면 NFS(network file system)서버가 NFS 서비스에 필요한 패키지를 깔고 관련된 데몬을 띄운다음 /etc/exports 파일에다가 클라이언트에게 공유할 디렉토리명과 클라이언트 주소 그리고 관련 옵션을 적어주면 exports 파일에 적힌 내용대로 클라이언트들이 서버의 자원을 자신의 파일 시스템인 것 마냥 쓸 수 있게 해주는 것.
우선은 클러스터 제작과정의 블로그 :
http://blog.neosgen.net/84
위 사이트에서 나오는 노드 컴퓨터에 하드 디스크 없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방법 NFS :
http://hanyjuny.blog.me/40106543467
NFS이 간략한 정의 :
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운영체제 등 동일한 운영체제 상호 간에 파일을 공유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서비스이다. NFS는 서버에 의해서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에 의해서 서버의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되어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파일 시스템을 자신의 파일 시스템처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쉽게 말하면 NFS(network file system)서버가 NFS 서비스에 필요한 패키지를 깔고 관련된 데몬을 띄운다음 /etc/exports 파일에다가 클라이언트에게 공유할 디렉토리명과 클라이언트 주소 그리고 관련 옵션을 적어주면 exports 파일에 적힌 내용대로 클라이언트들이 서버의 자원을 자신의 파일 시스템인 것 마냥 쓸 수 있게 해주는 것.
Tuesday, November 2, 2010
contrasting chromatin organization of CpG islands and exons in the human genome
최박사님이 올해 낸 논문.
음. 대단하다. 항상 그의 생물학적 지식에 놀란다.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스킬과 함께.
사실 네이쳐 급에 나오는 데이터 생산의 의미에 논문보다 솔직히 난 이런 논문이 더 어렵다고 생각한다. 이미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재조명한다는 것은 인용한 논문이 이미 누구나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내용은 다 한번 들쳐 본것이기 때문에 더 주의 깊은 관찰력 내지는 좀 더 넓은 시야를 요구한다. 어떻게 보면 요즘같이 넘쳐나는 데이터 속에 필요한 생물학자가 아닌가 싶다.
그래서 그런지 논문의 초점이 데이터 프레젠테이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논리 전개에 있다. CGI를 들여봄으로 시작해서 promoter 부위와 genebody 부위로의 확장 결국 CGI에의한 exon position effect와 functional effect 가지고 exon의 methylation에 대한 설명을 이어간다(전개를 이해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흐름을 못잡는 바람에). 더욱 RNA-splicing과 연관 시키기 위해서 exon들을 inclusiveness 에따라 분류하고 nucleosome과 CpG methylation의 패턴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런 패턴이 H3K36me3 에도 나타나는것을 확인한뒤 그럼 왜 이 세가지 요인(nucleosome occupancy, DNA methylation, H3K36me3) 가 얽혀 있을까란 생각을 한다. 그래서 expression 양에 따라
아 아직도 잘 정리가 안되네..
내 언제쯤 이 정도 될까싶다.
아마도 집중력 차이다. 한 문제에 대해 오래 생각할 수 있는.. 숙성일 수도 있고
이번 epigenomic 저널 클럽 발표 논문이다.
ppt
음. 대단하다. 항상 그의 생물학적 지식에 놀란다.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스킬과 함께.
사실 네이쳐 급에 나오는 데이터 생산의 의미에 논문보다 솔직히 난 이런 논문이 더 어렵다고 생각한다. 이미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재조명한다는 것은 인용한 논문이 이미 누구나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내용은 다 한번 들쳐 본것이기 때문에 더 주의 깊은 관찰력 내지는 좀 더 넓은 시야를 요구한다. 어떻게 보면 요즘같이 넘쳐나는 데이터 속에 필요한 생물학자가 아닌가 싶다.
그래서 그런지 논문의 초점이 데이터 프레젠테이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논리 전개에 있다. CGI를 들여봄으로 시작해서 promoter 부위와 genebody 부위로의 확장 결국 CGI에의한 exon position effect와 functional effect 가지고 exon의 methylation에 대한 설명을 이어간다(전개를 이해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흐름을 못잡는 바람에). 더욱 RNA-splicing과 연관 시키기 위해서 exon들을 inclusiveness 에따라 분류하고 nucleosome과 CpG methylation의 패턴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런 패턴이 H3K36me3 에도 나타나는것을 확인한뒤 그럼 왜 이 세가지 요인(nucleosome occupancy, DNA methylation, H3K36me3) 가 얽혀 있을까란 생각을 한다. 그래서 expression 양에 따라
아 아직도 잘 정리가 안되네..
내 언제쯤 이 정도 될까싶다.
아마도 집중력 차이다. 한 문제에 대해 오래 생각할 수 있는.. 숙성일 수도 있고
이번 epigenomic 저널 클럽 발표 논문이다.
ppt
Monday, November 1, 2010
각종 non-coding RNA
요즘 논문을 보면 각종 RNA에 대한 논문들이 많은데.. 그래서 이러한 각종 RNA에 대해 정리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 단순히 wiki를 링크 걸어본다. 읽어보고 정리는 언제 할지 미지수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non-coding RNA : http://en.wikipedia.org/wiki/Non-coding_RNA
miRNA : http://en.wikipedia.org/wiki/MicroRNA
piRNA : http://en.wikipedia.org/wiki/Piwi-interacting_RNA
snoRNA : http://en.wikipedia.org/wiki/SnoRNA
snRNA: http://en.wikipedia.org/wiki/Small_nuclear_RNA
lincRNA : http://en.wikipedia.org/wiki/Long_non-coding_RNA
lincRNA는 large intergenic non coding RNA 의 준말인데.. 음 long non coding RNA의 한 종류이겠지...
non-coding RNA : http://en.wikipedia.org/wiki/Non-coding_RNA
miRNA : http://en.wikipedia.org/wiki/MicroRNA
piRNA : http://en.wikipedia.org/wiki/Piwi-interacting_RNA
snoRNA : http://en.wikipedia.org/wiki/SnoRNA
snRNA: http://en.wikipedia.org/wiki/Small_nuclear_RNA
lincRNA : http://en.wikipedia.org/wiki/Long_non-coding_RNA
lincRNA는 large intergenic non coding RNA 의 준말인데.. 음 long non coding RNA의 한 종류이겠지...
Friday, October 29, 2010
miRNA-seq
miRNA seq에 대한 분석을 리뷰 하기위해.. 다음과 같은 논문을 정리한다.
1.discovering microRNAs from deep sequencing data using miRDeep (Nature computational biology 2008)
2.Current tools for the identification of miRNA genes and their targets (Nucleic Acids Research 2009)
3.miRTRAP, a computational method for the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miRNAs from high throughput sequencing data (2010 Genome Biology)
4.DSAP: deep-sequencing small RNA analysis pipeline (2010 Nucleic Acids Research)
위의 1번 논문은 거의 NGS 데어터를 이용한 miRNA 분석의 초창기 논문으로 볼수 있으며
2번 논문의 경우 거의 computational prediction에 가까운 논문이고 3번은 전혀 들여가 보지 않았으며 4번의 경우 web-server로 최근에 나온 논문.
다른건 모르겠는데.. isomiRs를 찾기위한(?) alignment 및 multiple alignment에 대한 공부가 필요한 것 같다(한때 BSA 책 공부 할때 바짝 up 됐었는데...).
PPT
1.discovering microRNAs from deep sequencing data using miRDeep (Nature computational biology 2008)
2.Current tools for the identification of miRNA genes and their targets (Nucleic Acids Research 2009)
3.miRTRAP, a computational method for the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miRNAs from high throughput sequencing data (2010 Genome Biology)
4.DSAP: deep-sequencing small RNA analysis pipeline (2010 Nucleic Acids Research)
위의 1번 논문은 거의 NGS 데어터를 이용한 miRNA 분석의 초창기 논문으로 볼수 있으며
2번 논문의 경우 거의 computational prediction에 가까운 논문이고 3번은 전혀 들여가 보지 않았으며 4번의 경우 web-server로 최근에 나온 논문.
다른건 모르겠는데.. isomiRs를 찾기위한(?) alignment 및 multiple alignment에 대한 공부가 필요한 것 같다(한때 BSA 책 공부 할때 바짝 up 됐었는데...).
PPT
bit 연산자
-사례 1
context.Dr7 |= 1 << (available * 2)
"파이썬 해킹 프로그래밍"이라는 책을 보고 있는데 하드포인트브레이크를 설정할때 위와 같은 구절이 나온다. 도대체 |= 는 뭔가? 평소에 잘 보지 않은 연산자로 보아 비트 연산자 일거고.. 사실 위의 구절이 하려는 의도(디버그 레지스터인 Dr7는 0~3까지 디버그 레지스터인 Dr0~3까지의스위치 역할을 하기에 0~3번째 위치의 bit 를 on 해주기 위한 것)를 이미 알기에 대략 추측을 햇지만.. << 는 비트를 왼쪽으로 미는것일거고 |=는 다양한 시도 끝에.. 아 bitwise or인 | 를 실행 시키고 그 결과를 대입 연산자 = 를 통해 다시 context.Dr7에 넣는구나라는 것을 깨달았다.
available 이 1이라고 가정하고 bin(context.Dr7) = 0b1010이라고 하면 1<< (1*2) 이므로 bin(1<<(available*2)) = 0b100 이 될 것이기에 0b1010과 0b100을 bitwise or로 하면 0b1110이 될것이고 그 값이 Dr7에 들어 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변수의 특정 위치(그러니까 그 변수의 특정 포지션의 bit)에 특정값을 밀어 넣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사례 2
전에 포스팅한 reference free short read validation의 논문의 quarc인가 하는 프로그램을 들여다 보면 K-mer 를 int 형 배열에 넣는데, K-mer에 K를 2라고 가정하면 종류가 최대 4**2=16가지의 K-mer 가 생성되기때문에
_base2int = int[16]
d_base = {'A':0, 'G':1, 'C':2, 'T':3} 으로 해서 "AC" 라는 K-mer가 있으면 value= 0 으로 초기화 한뒤 value += d_base['A'] ; value = value << 2; value += d_base['C'] 식으로 각 K-mer의 index value를 만드뒤 이 값을 이용해서 _base2int의 값에 접근.
context.Dr7 |= 1 << (available * 2)
"파이썬 해킹 프로그래밍"이라는 책을 보고 있는데 하드포인트브레이크를 설정할때 위와 같은 구절이 나온다. 도대체 |= 는 뭔가? 평소에 잘 보지 않은 연산자로 보아 비트 연산자 일거고.. 사실 위의 구절이 하려는 의도(디버그 레지스터인 Dr7는 0~3까지 디버그 레지스터인 Dr0~3까지의스위치 역할을 하기에 0~3번째 위치의 bit 를 on 해주기 위한 것)를 이미 알기에 대략 추측을 햇지만.. << 는 비트를 왼쪽으로 미는것일거고 |=는 다양한 시도 끝에.. 아 bitwise or인 | 를 실행 시키고 그 결과를 대입 연산자 = 를 통해 다시 context.Dr7에 넣는구나라는 것을 깨달았다.
available 이 1이라고 가정하고 bin(context.Dr7) = 0b1010이라고 하면 1<< (1*2) 이므로 bin(1<<(available*2)) = 0b100 이 될 것이기에 0b1010과 0b100을 bitwise or로 하면 0b1110이 될것이고 그 값이 Dr7에 들어 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변수의 특정 위치(그러니까 그 변수의 특정 포지션의 bit)에 특정값을 밀어 넣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사례 2
전에 포스팅한 reference free short read validation의 논문의 quarc인가 하는 프로그램을 들여다 보면 K-mer 를 int 형 배열에 넣는데, K-mer에 K를 2라고 가정하면 종류가 최대 4**2=16가지의 K-mer 가 생성되기때문에
_base2int = int[16]
d_base = {'A':0, 'G':1, 'C':2, 'T':3} 으로 해서 "AC" 라는 K-mer가 있으면 value= 0 으로 초기화 한뒤 value += d_base['A'] ; value = value << 2; value += d_base['C'] 식으로 각 K-mer의 index value를 만드뒤 이 값을 이용해서 _base2int의 값에 접근.
Thursday, October 28, 2010
circos

circos는 comparative genomics 데이터를 visualization하기 좋은 툴이다. 물론 개발자는 여러다른 예를 들지만..
처음에 메뉴얼 찾는데 웹페이지를 막 뒤지고 다운 받을 수 있는 모든 pdf를 다운 받고 훓어본 결과...
http://mkweb.bcgsc.ca/circos/tutorials/course/ 로 가서 개발자가 여러 컨퍼런스에서 강연했던 자료인 handout이랑 slide에 대한 ppt를 다운 받고 handout은 글이 많으므로 slide만 보면 대충 내용이 파악된다.
xml 처럼(이런게 xml 형식인가?.. 여튼) 그리고자 하는 결과의 component들을 인풋 파일로 정의해주고 이를 태그로 나타내주면 그려주는 형식이다.
개발자의 홈피를 가면 재밌는게 많은거 같은데.. 이 사람.. 색다르다. CSH 에서 나오는 저널중에 하나의 표지도 이사람이 만들었다는데(DNA sequence를 GC content로 색깔을 나타내고 sequence fragment repeat frequency로 curve를 만들어서 그렸는데 보면 무슨 virus를 형광 다이로 염색한 듯한 모습이다).. visualization에 매력을 느끼게 한다.
Subscribe to:
Posts (Atom)